전체 글(139)
-
[Spring Framework 특성 살피기] IoC에 대한 이해
[Spring Framework 특성 살피기] IoC에 대한 이해 ㆍIoC(Inversion Of Control) : 의존성을 직접 만드는게 아니라 외부의 누군가가 만들어준다. ㆍcase1 : 직접 의존성을 제어(직접 의존성을 만든다) - [OwnerController]스스로가 사용할 [OwnerRepository]와의 의존성에 대한 제어권 갖고 직접 만들어 사용한다. class OwnerController{ private OwnerRepository repository = new OwnerRepository(); } ㆍcase2 : 의존성 제어권을 위임 = 제어권의 역전(IoC) (외부에서 의존성을 만들어준다) - 다른 존재[OwnerControllerTest]에게 [OwnerRepository]과의 ..
2021.08.02 -
REST, RESTful의 개념
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fer) 월드 와이드 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. REST는 “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에 고유한 URI를 부여해 활용” 한다. - 프론트앤드/ 백앤드가 데이터를 요청하고 응답할 때 인터페이스로써 쓰이는 구조. - 자원을 정의하고 그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론. - HTTP URI로 자원을 명시하고, HTTP Method로 CRUD Operation을 적용한다. CRUD기능 HTTP Method Create POST Read GET Update PATCH, PUT Delete DELETE - RESTful : REST형식을 따르는 시스템. REST 구성요소 - 자원(Resource) : URI ..
2021.07.28 -
[정보통신기술 기초]TCP/IP Layer, 연결지향, 3 way handshake
1. TCP/IP 란 지역네트워크(LAN) 혹은 광역네트워크(WAN)에서 원할한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규약(Protocol) 으로 정의할 수 있다. WWW, EMAIL, TELNET, FTP등 대부분이 TCP/IP 기반에서 만들어져있다. TCP/IP 는 TCP와 IP 의 2개의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는데, 통상 IP 프로토콜 위에 TCP 프로토콜이 놓이게 되므로 TCP/IP 라고 부르게 되었다. IP - node(단말기)와 node 간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각 node 에 부여하는 논리적 주소를 IP Address라고 부르고 이를 설정하는 프로토콜이 Internet Protocol 이다. TCP -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이다. 데이..
2021.07.04 -
[1920x1080 고화질]내가만든 아이유 바탕화면 3개
마음에드는 이미지가 세개 있었는데 바탕화면으로 쓰기엔 영 부적적한 사이즈라서 잘 알지도 못하는 포토샵으로 주섬주섬 만들어봤습니다. 포토샵 써본적 없어서 굉장히 서툴게 만들었고 자세히 보면 아쉬운점이 굉장히 많긴 하지만 그래도 저같은 사람들은 잘 쓸수 있는 예쁜 바탕화면이라고 생각해서 공유해봅니당
2021.07.01 -
[SQL기초개념]Statement vs preparedStatement
Statement vs preparedStatement 1. 기본 Statement생성 절차 - Statement인터페이스의 execute메소드로 SQL문을 DB로 전달한다. - Client로부터 request를 받고 statement형태로 DB로 전달된다. - DBMS는 request에 대한 질의플랜을 짜고 컴파일을 실행한다. 2. Statement와 preparedStatement의 비교 [ Statement ] - Client로부터 방대한 양의 request를 받음. -> DB는 각 request에 대한 질의플랜을 짜고 컴파일을 실행함. * 성능 문제 : request수 만큼의 컴파일을 일일히 다 진행해야 한다. * 보안 문제 : 매 번 request마다 SQL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. * 사용성 문..
2021.06.09 -
[JAVA개념공부]Collection Framework, Map메소드 사용법
ㆍCollection Framework ㆍCollection : 객체의 집합.(데이터의 집합) ㆍCollection Framework : 자료구조를 구현하는 클래스의 인터페이스 제공 인터페이스 Collection 인터페이스 구성 요약 종류 Collection Interface와의 관계 자식 Set 중복 불허, 순서 없이 객체삽입. 중복여부를 equals 메소드로 판단하기 때문에 메소드 생성 시 ‘equals’메소드 Override가 필요함. HashSet, TreeSet Collection의 자식 sorted set List (Sequence) - 시작과 끝을 가진 선형구조 : 배열구조 중복 데이터 허용 Vector, Stack, ArrayList, Collection의 자식 - LinkedList : ..
2021.05.30